#공군조종사극한스트레스 공군조종사 전역 남자친구가 윤락 일본 한국윤락여성 살해 공군조종사스트레스 공군 비행조종사 공군 조종사 연봉 전투기 조종사 공군조종사 월급#
"극한 스트레스·환경열악"..공군조종사 속속 떠난다
"급여 낮고 환경 열악"..공군 조종사 속속 군 떠난다
군 생활 불안과 불만으로 전역하는 공군 조종사 여전히 많다
공군 조종사들의 군문 탈출 행렬이 계속 이어지고 있어 공군 전투력 약화와 작전 운영 차질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9일 공군본부에 따르면 군복을 벗은 조종사는 지난해 127명으로 나타났다. 2013년에는 124명, 2012년에는 113명으로 집계되어 매년 증가하고 있다.
의무복무 기간이 13년에서 15년으로 늘어나면서 2010년 86명, 2011년 74명으로 감소했지만 2012년부터 다시 느는 추세다.
전역 조종사는 숙련급 조종인력인 10년차인 대위, 15년차 소령이 가장 많아 공군 전투력 약화와 작전 운영 차질 뿐 아니라 양성에 투입되는 막대한 국가예산이 손실된다는 지적도 나온다.
숙련급 조종사 1명을 양성하려면 KF-16 전투기 조종사 123억원, F-4 팬텀기 조종사 135억원, CN-235 수송기 조종사 150억원이 들어가는 것으로 추산된다. 숙련급 조종사는 일정기간 전술훈련을 거쳐 독자적인 작전 운영과 낮은 등급 조종사의 비행훈련을 지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한 조종사를 의미한다.
조종사들이 대거 군복을 벗는 것은 북한과 대치하는 한반도 안보상황에 따라 쉴 틈 없이 계속되는 출동 등으로 말미암은 업무 부담감, 민간 항공사보다 낮은 급여 수준과 복지혜택, 주거 환경과 생활여건 등이 열악한 것이 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진급 불안과 직업 안정성 보장도 미흡하고 최근에는 중국 민항사의 고임금 유혹도 약간은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비오는날에 커피한잔 @Ks8Suki
RT @dsk3614: 급여 낮고 환경 열악 공군 조종사들 군 떠난다는데 방산비리로 25억씩 해먹는것 파혜쳐 토해내봐라 조종사 년봉 1억씩줘도 25명분이고 한명에게 몰아주면 25년 군생활 할 명분이다 엠병 https://t.co/I1ViR9mjnf